한국인에게 주로 나타나는 질병 관련 고유 현상 집대성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 사례집 배포 이는 우리나라 사람에게 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대규모 코호트 연구로 만든 한국인 고유의 연구성과 사례집이 나왔다.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체센터는 2001년부터 2015년(상반기)까지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KoGES) 코호트 연구를 통해 창출된 우수성과 50선을 선정하고, 사례집으로 발간하여 배포한다고 28일 밝혔다. 코호트 연구(Cohort study)는 어떤 특성을 공유하는 집단 구성원을 장기간 추적조사를 통해 건강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위험요인과 질병발생 간의 원인적 연관성을 밝혀내는 의학 연구방법이다.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은 국내 최초의 한국인 대상 대규모 연구 코호트로 일반인구집단 대상 질병발생 위험요인 연구를 위한 코호트와 유전-환경 상호작용 모델 연구를 위한 코호트가 있다.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는 한국인에게 흔히 발생하는 당뇨병, 고혈압, 비만, 대사증후군, 고지혈증, 골다공증, 심혈관 질환 등 만성질환의 유전-환경적인 요인과 질병발생과의 연관성 규명을 위한 사업이다. 이를 위해 2001~2006년까지 6개 코호트 기반조사를 시작으로 지역사회기반 코호트(안성?안산), 도시기반 코호트, 농촌기반 코호트, 쌍둥이 및 가족 코호트, 국내이주자 코호트, 국외이민자 코호트 등 24만명 규모의 코호트를 확대 구축했다. 40세 이상 대상자의 자발적 참여로 건강 및 생활습관 등 설문조사, 검진조사를 통해 임상·역학 자료와 생체시료(혈액, 소변 등) 수집를 수집하고, 2012년부터 전면적 반복추적조사 실시하고 있다. ※ 기사바로가기를 클릭하시면, 기사의 전체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