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규정

  • 국제뇌연구
  • 편집규정
  1. 국제뇌연구 편집규정

    『국제뇌연구』 편집규정 양식

    제 정 : 2016. 7. 20.



    1. 일반 사항

    1) 투고논문 응모자는 본 학회 홈페이지에서 ‘학술지편집 예시’(학술지편집 예시.hwp) 파일을 내려받아, 이 파일에 논문을 작성하여 본 학회 홈페이지에 접수한다.
    2) 해외 응모자는 투고논문 접수마감일까지 외국기관소속 증빙서류 원본을 등기우편으로 제출하거나 그 원본 서류를 스캔 한 파일을 이메일로 제출하여야 한다.
    3) 투고논문은 제출된 상태로 출판할 수 있도록 ‘학술지편집 예시’ 파일의 규격과 스타일에 따라서 작성되어야 하고, 투고논문 원본을 그대로 출판하여 나타나는 맞춤법, 띄어쓰기, 구두점, 내용 등 오류에 대한 책임은 필자에게 있다.
    4) 원고 분량은 참고문헌과 국문 및 영문 초록을 포함하여 20페이지 이내가 되어야 하며, 이 분량을 초과한 논문의 투고자는 소정의 비용을 추가로 납부하여야 한다.
    5) 본 학회에서 출간된 논문이나 글은, 그 원고가 본 학회에 제출된 시점에서 저작권(디지털 저작권 포함)과 복제 전송권이 본 학회에 이양된 것으로 한다.
    6) 본 학회의 ‘원고작성양식’과 ‘편집예시 파일’에 따라서 작성되지 않은 원고와 논문 심사료를 납부하지 않은 논문은 심사에서 제외될 수 있다.

    2. 편집용지

    편집용지의 규격은 B5로 하며, ‘한글 2004’를 기준으로 용지 여백은 위•아래•좌•우 각각 20mm, 제본 0mm, 머리말 15mm, 꼬리말 15mm로 설정한다.

    3. 글자와 문단

    논문에 쓰이는 글자와 문단은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 표 >『국제뇌교육학회』글자와 문단 편집 양식

    구분 줄간격 글꼴 크기 장평 자간 들여
    쓰기
    내어
    쓰기
    좌우여백 문단간격
    아래
    본문 175 휴먼명조 10.5 97 -3 15 0 0 0 0 0
    인용문(일반) 175 휴먼명조 9.5 97 -3 15 0 20 20 0 0
    인용문(대화) 175 휴먼명조 9.5 97 -3 15 5 20 20 0 0
    표.그림제목 155 굴림 진하게 9.5 97 -3 0 0 0 0 0 0
    표 내용 155 휴먼명조 9.5 97 -3 0 0 0 0 0 0
    각주 155 휴먼명조 9.5 97 -3 0 20 0 0 0 0
    참고문헌 170 휴먼명조 10 97 -3 0 40 0 0 0 0
    국문 초록 155 굴림 9.5 97 -3 15 0 20 20 0 0
    영문 초록 175 굴림 10 97 -3 15 0 0 0 0 0




    4. 제목

    1단계 : 글 제목 (중고딕, 글자크기 16, 진하게, 가운데 정렬)
    2단계 : 1, 2, 3 ••• (중고딕, 글자크기 14, 진하게, 왼쪽 정렬)
    3단계 : 1.1, 1.2, 1.3, ••• (중고딕, 글자크기 12, 진하게, 왼쪽 정렬)
    4단계 : 1.1.1, 1.1.2, 1.1.3, ••• (중고딕, 글자크기 12, 진하게, 왼쪽 정렬)
    (이하 단계의 글자크기와 정렬방식은 위의 3단계와 동일)

    5. 본문

    1) 국어로 논문을 작성할 경우에는 한글로 모든 문장을 작성하여야 하고, 의미가 혼동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단어에 이어서 괄호 속에 한자나 외국어를 써 넣는다. 마찬가지로, 영어로 논문을 작성할 경우에는 모든 문장을 영어로 작성하여야 하고, 의미가 혼동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단어에 이어서 괄호 속에 한글이나 외국어를 넣는다.
    <예시> 이해(利害), 이해(comprehension)

    2) 본문 속의 책, 학술지, 자료집, 잡지, 신문, 영화, 노래, 웹 사이트 등의 명칭 가운데 국어, 중국어, 일어는 중고딕으로 표기하고, 인도유럽어는 Italic으로 표기한다.

    3) 그 밖의 띄어쓰기와 문장부호 등은 한글 맞춤법 규정에 따른다.

    4) 본문 중에 통계검증 결과(통계치는 이탤릭체로 표기)를 제시할 때는 통계치 기호와 함께 자유도, 통계치 그리고 유의수준을 같이 제시하며(이때 유의수준의 소수점 앞에는 0을 쓰지 않는다(p=.001), 다음과 같은 요령으로 한다.

    (1)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15)=2.98, p<.01,F(1, 104)=10.24, p<.001,χ2(4, N=49)=14.87, p<.01
    (2)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14)=1.06, p>.05 또는 t(14)=1.06, ns.
    F(1, 28)=1.66, p>.05 또는 F(1, 28)=1.66, ns.
    F(1, 28)<1.00, ns.
    (3) 두 변인간의 상관은 r(70)=.76 (p<.001)이었다.
    두 변인은 서로 중간 정도로 상관되었다.r(70)=.58, p<.001.
    두 변인간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r(70)=-.07, p>.10 또는 r(70)=-.07, ns.
    (4) 소수점 두 자리 수까지 제시하고, 나머지는 반올림한다. 소수점부터 시작되는 수치는 .35와 같이 소수점 앞의 0을 생략한다.

    6. 인용문

    1) 인용했을 경우에는 반드시 본문에 출처를 밝힌다. 해당 면을 함께 표시할 때는 발행연도에 이어서 쉼표를 찍고 해당 면을 다음과 같이 숫자로 적는다.
    <예시 1> 홍길동(2000, p.36)에 따르면 ~
    <예시 2> 홍길동(2001)에 따르면 ~

    2) 본문 내용에서 다른 저자가 같은 내용에서 동시에 인용될 때는 한국인 먼저 가나다순으로, 그 다음 외국인은 알파벳순으로 괄호내용에 ( ; )를 이용하여 배열한다.
    <예시> ~ 에 대한 연구들(김길동, 1999; 박길동, 2001; 홍길동, 1998; Anderson, 1990; Mead, 1928; Williams, 1998) ~

    3) 저자가 1인 또는 2인인 경우는 본문 내에 인용될 때마다 모두 표기한다.
    <예시> 홍길동과 홍춘희(2001)는 ~
    Affonso & Lee(2001)는 ~

    4) 저자가 3인 이상, 5인 까지의 경우 첫 인용에는 한국인은 성과 이름 전부, 외국인인 경우 성(family name)을 전부 표기하고, 같은 문헌이 반복 인용될 때, 한국인은 첫 저자의 이름 전부와 등(等), 외국인은 첫 저자의 성과 et al.을 표기한다.
    <예시> 홍길동, 홍춘희 및 김길수(2001)는 ~ ----- 첫 인용
    홍길동 등(2001)은 ~ ------------------ 반복인용
    Willams, Johnes, Smeith & Lee(2001)는 ~ ----- 첫 인용
    Willams et al. (2001)은 ~ -------------------- 반복인용

    5) 저자가 6인 이상인 경우에는 처음부터 한국인은 첫 저자의 이름 전부와 등(等), 외국인은 성과 et al. 연도를 표기한다. 참고문헌에는 전체 저자의 이름을 표시한다.
    <예시> 홍길동 등(2001)은 ~ ------- 첫 인용, 반복인용 모두
    Price et al. (2001)은 ~ ------- 첫 인용, 반복인용

    6) 자료를 직접 인용할 때, 인용문이 한글로 40자 이하인 경우에는 본문 안에 겹 따옴표(“ ”)를 하고 그 안에 제시한다. 이 때 인용문의 문장 부호(마침표와 물음표 등)는 따옴표 안에 표시한다. 한편, 40자 이상을 인용할 경우에는 문단을 나누어 제시하고, 인용문 끝에 괄호를 쓰고 그 안에 출처를 밝힌다. 한편 단어와 구의 인용은 홑 따옴표(‘ ’)를 하고 그 안에 제시한다.

    7. 표 및 그림과 사례

    1) 표, 그림, 사례에는 괄호를 사용하여 진한 굴림체로 <표 1>, <그림 1>, <사례 1>과 같이 일련번호를 붙이고, 이어서 제목을 제시한다. 자료의 출처는 표의 하단에 표시한다.

    2) 그림(figure와 graph)은 쉽게 재작성할 수 있는 형태로(graph의 경우는 좌표 값의 명기) 제시한다.

    3) 표는 가능한 한 간결하게 만들어야 한다.

    4) 그림의 제목은 그림 하단 가운데 정렬하여 쓰고(예:<그림 1> 실험 1의 자극재료), 표의 제목은 표 위에 왼쪽 정렬하여 쓴다(예: <표 1> 평균 회상 반응).

    5) 본문에서 그림과 표의 언급은 괄호를 사용하여 언급한다(예: <그림 1>에서…, <표 1>에…). 또한 모든 그림이나 표는 원고의 해당 위치에 제시되어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 말미에 제시할 수 있다.

    6) <그림>이나 <표>를 본문과 분리하여 제시할 경우에는 각 그림이나 표의 위치를 본문 내에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
    그림 1의 위치
    -----------------------

    7) 표에 제시된 약자와 밑줄 그은 부분, 괄호로 표기된 부분 및 측정단위는 설명되어야 한다. 예외) M, SD, df와 같은 표준 통계 약자는 설명하지 않아도 된다.

    8) 표의 주는 일반 주, 구체적 주, 그리고 확률수준 주의 순서로 배열한다.

    예) 주. 동일한 아래 첨자가 붙은 평균들은 유의하게 다르지 않음을 나타낸다.
    BAI=Beck Anxiety Inventory.
    an=45, n=62.
    *p<.05, **p<.01.

    8. 주(註)

    1) APA 인용이 원칙이기에, 자료의 출처나 참고문헌을 밝히는 경우에는 각주를 사용하지 않는다.
    2) 논문내용 전개상 꼭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 경우에 한정하여, 각주(footnote)를 사용할 수 있다.
    3) 각주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 분량을 가능한 줄여야 하고, 한 면의 4분의 1을 넘지 않게 하여야 한다.

    9. 참고문헌

    1) 여러 나라의 문헌을 참고하였을 경우에는 한서, 중서, 일서, 서양서 순으로 제시한다.

    2) 저서는 저자, 발행연도, 서명, 발행지역, 발행기관 순으로 제시한다. 서명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국문 저서는 중고딕체로 표시하고, 영문 서적은 이텔릭체로 표시하며 서명과 부제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쓴다.
    <예시> 이승헌(2008). 뇌파진동. 서울: 한문화멀티미디어.
    <예시> Lee, S. H. (2000). Healing society. Charlottesville: Hampton Roads Publishing Company, Inc..

    3) 편서는 저서와 같은 방법으로 표기하되, 편자의 끝에 ‘(편)’ 또는 ‘(Ed.)’로 표기한다. 영문 편서의 경우 편자가 여러 명일 때는 ‘(Eds)’로 표기한다.
    <예시> 김영식 (편) (1987). 과학사개론. 서울: 다산출판사.
    <예시> McMillan, J. H. (2001). Classroom Assesmen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effective instruction(2nd Ed.). Boston: Allyn and Bacon.

    4) 역서는 원저의 출간 사항을 먼저 밝히고, 이어서 역서의 출간 사항을 밝힌다. 세부적인 인용방식은 저서를 밝힐 때와 동일하다.
    <예시> Lortie, D. C. (1975). Schoolteacher: A sociological study. 진동섭 (역) (1996). 교직사회: 교직과 교사의 삶. 서울: 양서원.

    5) 학위논문은 저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시한다.
    <예시> 하태민(2009).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뇌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박사학위논문,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예시> Yeom, J. S. (1996). From the voices of children: Transition stories from kindergarten to grade on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lberta, Canada.

    6) 저서, 편서, 학술지, 자료집 안의 논문은 해당 면수를 밝히고, 학회지 권수는 국문 서적은 중고딕체로 영문 서적은 이탤릭체로 하여 서명의 스타일과 동일하게 표기한다.
    <예시> 신혜숙(2006). 뇌교육이 내포하는 세 가지 교육영역의 특징과 의미. 뇌교육연구, 1, 19-23.
    <예시> 홍용희(1998).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교육인류학연구회 (편). 교육연구의 질적 접근: 그 방법과 쟁점 (pp. 33-53). 교육인류학연구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998. 4. 11. 광주교육대학교).
    <예시> Donmoyer, R. (1990). Generalizability and the single-case study. Eisner, E. & Peshkin, A. (Eds). Qualitative inquiry in education: The continuing debate (pp. 175-200).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예시> Philips, S. U. (1976). Some sources of cultural variability in the regulation of talk. Language in Society, 7(1), 81-95.

    7) 잡지, 신문 등의 기사는 발행 연월일을 제시한다.
    <예시> 권장희 (2000. 1. 19). 비정상적 행위에 보통관객 등 돌려. 동아일보, 15면.
    <예시> 김보희 (2009. 3). 뇌 속의 인생-유아기의 뇌. 브레인, 15, 12-15. 서울: 한국뇌과학연구원.
    <예시> Hunter, A. (2009. 3). The wisdom paradox-Elkhonon Goldberg. Brain World, 1. 52-59.
    <예시> Schwarts, J. (1993, Sept. 30). Obesity affects economic, social status. The Washington Post, A1, A4.

    8) 영화, 다큐멘터리, 드라마 등의 자료는 제작자, 감독 등을 괄호 안에 표기한다.
    <예시> 김상찬 (제작), 이정향 (감독) (2002). 집으로. 서울: 듀브 픽쳐스.

    9) 웹 사이트의 자료는 자료가 등록된 날자와 웹 사이트의 주소를 밝힌다.
    <예시> 함영기 (1999. 9. 25). 교실 밖 선생님. http://webtutor.shinbiro.com.
    <예시> Strangelove, M. (1994). The internet, electric gaia and the rise of the uncensored sel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magazine, 5.
    http://www.december.com/cmc/mag/1994/sep/self.html.

    10. 초록

    1) 국․영문초록은 문단을 구성하지 않으며 국․영문초록의 분량은 편집양식 기준으로 국문요약은 9줄, 영문요약은 10줄을 기준으로 구성한다. 국문초록에는 5개 내외의 ‘주요어’를 제시하고, 영문초록에는 논문제목과 필자의 성명 및 소속을 영문으로 밝히고, Key Words를 소문자로 표기한다.
    2) 영문으로 작성된 논문은 위와 같은 양식으로 논문의 처음에 영문초록을 제시하고, 논문의 끝에 국문초록을 제시한다.